다움이 경쟁력 메르세데스 벤츠 GLE 450 4매틱
다움이 경쟁력 메르세데스 벤츠 GLE 450 4매틱
페라리 296 챌린지 공개 데뷔는 2024 시즌 페라리 챌린지 예정
메르세데스 벤츠 GLE 부분 변경 모델을 시승했다.
상품성을 개선하고 내연기관 엔진에 48볼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용한 것이 포인트다.
더 큰 SUV GLS가 있지만 한국의 조건에 맞는 대형 SUV로 분류해도 무방한 크기의 모델이다.
여전히 브랜드 특유의 독창성을 무기로 하고 있는 메르세데스 벤츠 GLE 450 4매틱의 시승 느낌을 적는다.
여전히 브랜드의 시대다. 특히 한국 시장은 그렇다.
21세기 초 사치품 시장의 40%를 일본이 장악했던 시대에서 지금은 50% 이상을 중국이 장악하고 있다.
글로벌 차원의 점유율에서 한국은 높지 않지만, 그 중간 어디쯤에 있다.
그 사이 한국의 소비자들도 다양성 시대로 옮겨왔지만 소위 말하는 ‘명품’에 대한 욕구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메르세데스 벤츠 GLE는 20세기 말 SUV의 프리미엄화 시작을 알리는 모델이었다.
지금은 소형 세그먼트까지 파이를 키워 오늘날 SUV가 대세인 시대를 만들게 된 실마리였다.
오늘 시승하는 바로 그 프리미엄 SUV의 시조인 M클래스가 원조인 GLE다.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로써는 첫 번째로 SUV 본 고장인 미국 시장 공략을 목표로 개발된 모델이었다.
또 하나는 독일 메이커가 미국 현지 공장 건설을 통해 Made in Germany가 아닌 Made by Germany라는 개념을 표방한 첫 번째 모델이기도 했다.
이때부터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를 비롯한 유럽차들의 미국 시장 공략이 본격화됐다.
상대적으로 미국 시장에서 일본차에 뒤져 있었던 것을 만회하고 현지 생산을 통해 더욱 적극적인 공략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결과는 20세기 독일 3사의 연간 판매 대수가 60만 대에서 지금은 200~250만 대 수준까지 확대됐다.
미국 시장뿐만 아니라 중국과 왜건 시장이 강한 유럽 시장까지도 SUV와 크로스오버가 절반에 가까운
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로 파이를 키우는 데 지대한 역할을 했다.
중국 시장에서만 BMW와 메르세데스 벤츠의 연간 판매 대수가 100만 대에 육박하고 있다.
이는 21세기 초 세분화 전략까지 동원하며 고가 모델의 부가가치를 높이는데도 크게 기여했다.
메르세데스 벤츠만 해도 SUV에도 A클래스부터 G클래스까지 풀라인업을 갖추며 모든 세그먼트의 모델을 라인업하고 있다.
거기에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조합하면서 한 모델에 60~80개에 달하는 베리에이션을 구성하고 있다.
판매가 증가하면서도 프리미엄 브랜드의 가치인 희소성을 잃지 않고 있는 배경이다.
게다가 지금은 전기차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는 데도 강점을 보인다.
배터리를 탑재해야 하는 공간이 세단에 비해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어 크로스오버와 SUV의 위세는 더욱 강해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메르세데스 벤츠는 프리미엄 브랜드로써의 럭셔리성을 극단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세상이 변해도 메르세데스의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2019년 출시된 4세대 모델의 부분 변경 모델이다.
정통 SUV로 분류되며 시각적으로는 대형을 방불케 한다.
GLE 쿠페에 비해 휠 베이스가 60mm 긴 것도 기여한다.
언더 가드와 다이아몬드 라디에이터 그릴이 조합된 앞 얼굴은 범퍼와 라디에이터 그릴의 그래픽에 변화를 주었다.
84개의 LED를 채용해 650미터 전방까지 비추어 주는 멀티빔 헤드램프는 두 개의 부메랑 램프에서 GLC에서 보았던 신세대 그래픽으로 바뀌었다.
측면에서는 변화가 없다. 뚜렷이 박스형 SUV임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등장하는 메르세데스 벤츠의 SUV에는 대부분 사이드 스탭이 장착되어 있다.
EQE SUV 시승기에서도 언급했지만, 시각적인 효과를 노린 것이다.
기능적으로 오프로더를 상정한다면 걸리적거릴 수 있는 요소다.
사용자들이 선택할 문제다. 앞뒤 크기가 다른 타이어가 장착된 것도 그렇지만 그 자체만으로 위압감을 준다.
인테리어는 다기능 스포츠 스티어링 휠과 새로운 인테리어 트림 및 가죽 옵션,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에 적용된 크롬 송풍구 등이 적용됐다.
분위기만으로는 크게 다르지 않은 질감이고 고급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