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 오스트랄 페이스리프트 한국 시장 진출 가능성은?
르노 오스트랄 페이스리프트 한국 시장 진출 가능성은?
2025 폭스바겐 투아렉 3.0 TDI Prestige 실용성과 럭셔리의 조화
2022년에 첫 공개된 르노의 컴팩트 SUV 오스트랄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이 해외에서 출시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랑 콜레오스가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 라인업에 오스트랄이 추가될 가능성도 흥미로운 부분으로 떠오릅니다.
오스트랄의 전면에는 르노의 최신 디자인 언어와 패밀리 룩이 적용되었습니다.
이미 선보인 라팔이나 에스파스와 비슷한 인상이 강하게 남습니다.
페이스리프트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전면만 놓고 보면 거의 풀체인지에 가까운 모습입니다.
날렵한 헤드램프와 비행기 날개 모양을 연상시키는 주간주행등, 중앙에 자리 잡은 르노의 로장주 엠블럼과 입체적인 다이아몬드 패턴은 에스파스를 연상케 할 정도로 유사한 디자인을 자랑합니다.
반면, 측면에서는 에스파스와 뚜렷이 구분되는 점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스파스가 그랑 콜레오스보다 크기에서 약간 작은 편이긴 하지만, 오스트랄은 약 4.5m의 길이로 컴팩트 SUV의 크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신차가 출시될수록 길어지는 현대 투싼이나 기아 스포티지와 비교했을 때, 오스트랄은 소형과 준중형 SUV 사이의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르노 오스트랄의 주요 제원 mm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작과 동일한 르노-닛산 CMF-CD 플랫폼을 사용하며 전체적인 크기 또한 큰 변화는 없습니다.
요즘 수평형 LED 헤드램프와 테일램프가 자동차 디자인의 주요 트렌드가 되었지만, 르노 오스트랄은 이와 차별화된 개성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후면부 테일램프는 전면 주간주행등의 날개 형상을 약간 변형해 연속성을 부여한 디자인처럼 보입니다.
인테리어를 살펴보면 페이스리프트 전후로 큰 차이는 느껴지지 않습니다.
여전히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12인치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가 기본으로 적용되었으며 레이아웃도 동일합니다.
다만, 스티어링 휠 주변 디테일과 디스플레이에서 확인할 수 있는 UI 업데이트 등이 약간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르노는 신형 오스트랄이 한층 더 편안하고 조용한 드라이빙 경험을 제공한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알파인 트림에서는 라미네이트 유리를 적용해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였으며, 본넷 흡음재 추가와 엔진 마운트 개선 등을 통해 주행감 향상에 집중했다고 합니다.
2025년형 르노 오스트랄의 파워트레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E-Tech 풀 하이브리드: 1.2L 3기통 터보 엔진과 2개의 전기모터로 합산 출력 200마력. 배터리 용량 2kWh, 400V 리튬이온.
마일드 하이브리드: 1.3L 4기통 가솔린 엔진으로 최대 출력 160마력. 12V 리튬이온 배터리 및 스타터 얼터네이터 포함.
오스트랄은 스페인 팔렌시아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어 만약 국내에 도입된다면 판매 가격이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큽니다.
부산 공장에서의 생산도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폴스타4 생산도 병행 중이라 현실적으로 당장 추가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