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스타와 르노코리아 르노와 길리 그리고 새로운 글로벌 협업
폴스타와 르노코리아 르노와 길리 그리고 새로운 글로벌 협업
현대차 2.5 터보 하이브리드 만든다 팰리세이드에 탑재?
르노코리아의 부산공장에서 폴스타4가 2025년부터 생산된다.
한국 시장 판매는 물론이고 미국 시장으로도 수출된다.
이는 2021년 르노그룹과 폴스타의 모회사인 길리(지리)홀딩스가 협력하기로 한 이후에 나온 실질적인 결과물이다.
폴스타의 첫 번째 모델 폴스타2는 중국 청두 볼보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내년부터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볼보 공장에서도 두 번째 모델 폴스타3를 생산하게 된다.
그리고 세 번째 모델인 폴스타4를 한국 르노코리아 공장에서 생산한다는 것이다.
외형상 위탁생산이다. 르노와 길리간의 새로운 형태의 글로벌 협업의 시작이기도 하다.
관련 내용을 포함해 새로운 형태의 협업에 관해 고찰해 본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아직은 존재한다.
그런 상황에서 폴스타가 미국이 아닌 한국에서 배터리 전기차를 생산하기로 했다.
이는 짚어 볼 내용이 많다. 르노코리아의 입장에서는 생산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호재다.
그러나 RE100으로 대변되는 친환경 비즈니스 후진국인 한국에서 생산해 해외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도 나올 수 있다.
이는 2025년 이후 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인 르노코리아도 마찬가지이다.
자동차산업에서 비용 절감은 숙명이다. 이미 여러 차례 다양한 방법으로 언급했다.
지금 전기차로의 전환과정에서는 그것이 더 극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차량 가격의 40%에 달하는 배터리는 외주에 의존하고 있다. 나머지 60%에서 수익을 내야 한다.
자율주행, 커넥티비티보다 더 중요한 생존이 걸린 싸움이 시작되고 있다.
전통적인 자동차회사들은 그것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거대한 규모의 회사가 정책을 바꾸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그사이 그런 내용을 간파한 테슬라가 선수를 쳤다.
기가캐스팅을 기반으로 하는 언박스드 프로세스로 대변되는 생산방식의 혁신이 진행 중이다.
지금은 토요타가 자체 추진생산방식과 현대차그룹이 신 제조 혁신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물론 중국의 상하이자동차 그룹도 실행하고 있다. 길리자동차 그룹의 지커 브랜드와 스타트업 샤오펑도 기가 캐스팅 방식을 실차 생산에 적용하고 있다.
볼보도 최근 두 대의 기가 프레스를 주문했다.
그런 가운데 등장한 것이 르노그룹과 길리자동차 그룹의 협업이다.
협업은 파워트레인과 플랫폼 공유, 부품 공유화가 대표적이다. 서로의 인프라를 활용해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방식도 포함된다.
20세기 말부터는 뱃지 엔지니어링도 등장했다. 같은 모델을 개발해 다른 브랜드에 공유 또는 공여하는 것이다. 엔진 등 파워트레인 공유도 적지 않았다.
그 시기에는 규모의 경제를 위해 다임러크라이슬러의 인수합병,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등이 동원됐었다.
지분 관계가 포함된 형태였다. 다임러와 크라이슬러는 문화적인 차이를 해소하지 못하고 2007년 다시 해어졌다.
르노와 닛산도 최근 지분 관계를 각각 15%로 조정하면서 새로운 관계 설정에 들어섰다.
현대기아의 합병을 제외하면 당시의 이합집산이 뚜렷한 효과를 냈다고는 볼 수 없다.
지금은 그동안 주류에서 밀려나 있던 르노그룹이 닛산과의 관계 정립을 마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있다.
PSA와 피아트, 크라이슬러그룹이 뭉쳐있는 스텔란티스와 달리 르노그룹은 독자적인 행보를 하기가 더 용이하다.
르노브랜드와 다치아, 그리고 르노코리아 등 몇 개의 자회사만 있다.
역으로 2022년 기준 205만 대 판매로 규모의 경제를 독자적으로 구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닛산과 협력을 했다. 결국은 화학적 결합은 이루지 못했다. 플랫폼과 부품 공유에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