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king News

FCEV EV보다 수소 내연기관 타타대우모빌리티 맥쎈 수입차 생각 안나게 만드는 국산 최종병기 GV80 BMW 3시리즈 50주년 여전히 동급 최고 7세대 G20 아이코닉 끝판왕 전기차 미니 에이스맨 SE BMW사륜구동 전기 세단 뉴 i5 xDrive40 출시

현대차의 인도 확대 중국과 러시아 부진 극복할 수 있을까

현대차의 인도 확대 중국과 러시아 부진 극복할 수 있을까

64.5억원짜리 지붕 없는 전기 슈퍼카 등장만으로 이목 집중

테슬라는 중국으로 가는데 현대차는 인도로 간다. 물론 그렇게 간단하게 단정할 수는 없다.

다만 두 회사의 이런 움직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테슬라는 연간 2,000만 대 생산을 위해 가장 중시하는 것이 중국 시장이다.

현대차는 러시아 시장 철수와 중국 시장에서의 고전을 극복하기 위해 급성장하고 있는 세계 3위 시장으로 급 부상한 인도를 택했다.

GM과 포드가 인도 시장에서 수년 전 철수했을 때 현대차와 기아는 인도에 공을 들이기 시작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에 공장을 건설하기 시작한 데 이어 인도 시장의 확대로 시장 다변화를 위한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인도 자동차시장의 현황과 현대차그룹의 전략을 살펴본다.

현대자동차가 GM 인도법인의 탈레가온 공장을 인수했다.

탈레가온 공장은 연간 약 13만 대 수준의 완성차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차는 연내 인도 정부의 승인 등 선결 조건 달성 후 취득 절차가 완료되면 2025년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올해 상반기 라인 개선을 통해 기존 첸나이 공장의 생산능력을 75만 대에서 82만대로 늘렸다.

탈레가온 공장까지 합하면 현대차의 인도 내 총 생산능력은 최대 100만 대 수준으로 확대된다.

포드는 2022년 8월 포드의 인도 서부 구자라트 공장을 72억 6,000만 루피(약 9,150만 달러)에 인도의 자동차회사 타타에 넘겼다.

이로써 타타의 연간 생산 용량은 30만 대 확대된 42만대로 증가하게 됐다.

포드는 2021년 인도 시장에서 생산을 중단했다.

GM이 2017년 현지 판매를 종료한 데 이어 포드도 철수하며 인도 시장은 마루티 스즈키와 현대기아의 양강 체제가 더 공고해졌다.

혼다도 2020년 12월 두 공장을 하나로 줄였고 토요타도 2018년 인도 시장에 출시한 야리스의 생산과 판매를 중단했다.

2020년 기준 인도 시장은 마루티 스즈키가 47.7%, 현대기아가 23.1%,

타타자동차가 8.3%, 마힌드라&마힌드라가 5.8%, 토요타 3.4%, 르노 3.4%, 혼다 3.0%의 점유율을 보였다.

기아는 2019년 인도 시장에 진출해 소형 SUV가 인기를 끌어 2020년 15만 대를 돌파했다.

그로 인해 마루티 스즈키의 시장 점유율은 43%로 방어선으로 여겼던 50% 아래로 떨어졌다.

10년 전 40%에서 50%까지 증가했던 것이 하락세를 보였다.

인도는 2020년 상용차를 포함한 신차 판매 대수는 328만 대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시장이다.

그중 승용차가 271만대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인도는 지금은 인구가 중국보다 많은 14억 명을 넘었지만, 당시는 13억 명 수준이었다.

소득 수준이 낮아 경제성 높은 저가 소형차가 주로 판매되는 시장이다.

마루티 스즈키의 알토의 시판 가격은 31만 5,000루피(약 4,180달러, 한화 약 500만 원)다.

하지만 미국의 대형차는 주로 70~80만 루피로 고가 모델이 주를 이루었다.

대형 고가차의 시장 확대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2022년 업체별 판매 대수는 마루티스즈키가 157만 6,025대를 판매해 41.7% 점유율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서 현대차가 55만 2,511대로 14.6% 점유율로 2위였다.

3위는 타타자동차로 52만 6,798대(13.9%), 4위는 마힌드라로 33만 5,088대(8.9%), 5위는 기아로 25만 4556대(6.7%) 등이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hare Article: